본문 바로가기

react2

Web Socket을 사용하여 간단한 채팅 앱 구현하기 Web Socket이란?브라우저와 서버 사이의 전이중(양방향, Full Duplex) 통신 프로토콜  실시간 통신을 위해 Polling 방식을 사용한다면?일정한 간격으로 서버에 요청을 받는 방식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요청할 때마다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(단방향 통신)데이터가 변경되더라도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내지 않으면, 바뀐 데이터를 알 수 없다클라이언트는 실시간 데이터를 위해 지속적으로 요청을 보내야 한다불필요한 네트워크 트래픽이 발생하고, 응답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도(데이터가 바뀌지 않았더라도) 요청을 보내서 서버에 부하 증가이외에도 HTTP 기반의 Long Polling, Streaming, Server-Sent Events(SSE) 등의 방식이 있다. 기존 HTTP 기반 실시간 통신 방식의 한계.. 2025. 3. 12.
[React] 라이프사이클 컴포넌트 기반의 리액트에서는 각 컴포넌트 마다 수명 주기가 있다. 컴포넌트가 브라우저 상에서 렌더링되고 업데이트되고 사라지는 과정을 말한다. 크게 마운트, 업데이트, 언마운트로 나뉜다. 라이프 사이클 메소드를 통해 우리는 컴포넌트가 생성되고 변화하고 없어지는 과정을 통제할 수 있다. 마운트(Mount) 컴포넌트가 처음 생성되는 단계. DOM이 생성되고 웹 브라우저 상에 나타난다. 다음과 같은 메소드가 호출된다. constructor 생성자 메소드. 가장 먼저 실행된다. constructor(props) { super(props); this.state = { count: 0 }; } props과 state에 접근할 수 있고, 초기 state 값을 정할 수 있다.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는 useState 훅을 .. 2024. 3. 18.